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의문점 및 미해결 떡밥 #=== 시리즈가 아닌 1시간 39분(99분)짜리 장편 애니메이션[* 뒤의 엔딩 크레딧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러닝타임은 1시간 25분(85분) 정도로 더욱 줄어든다.]이다 보니 러닝타임 내 분량 조절을 위해 일부 묘사나 설정 등 해명되지 않거나 풀리지 않은 부분이 있어, 관객들이 궁금해하거나 의문을 가진 점을 정리한 문단이다. 이중 일부는 추후 후속작이나 비하인드 공개 등으로 풀릴 가능성이 있다. * '''루미의 아버지^^악령^^의 정체, 그리고 어머니 류미영과 이어지게 된 경위''' 초기 컨셉 아트를 통해 일반적인 저승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류미영의 옆에서 온화한 미소를 짓는 것으로 보아 악령이긴 하나 진우처럼 인간성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밖에는 정보가 풀리지 않았다. * '''류미영의 사망 원인''' 루미의 어머니 류미영의 사망 원인이 묘사되지 않는다. 극중 인물들 모두 류미영의 사망 경위를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는다.[* 단 컨셉아트와 초기 설정에선 셀린이 모종의 이유로 류미영을 살해하고 사고로 위장한 것으로 되어있다가 루미가 진실을 알고는 엄마를 왜 죽였냐며 셀린에게 분노하고 악령으로 각성하는 장면이 있었다. 헌터들이 악령을 무조건적으로 처단해야 할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감안하면 셀린이 악령과 가까운 사이가 된 류미영을 위험 요소로 판단하고 처단했을 가능성도 있다.] * '''루미가 문양이 있음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 작중 문양이 있는 악령들은 귀마의 힘에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되며 극후반 부에는 일반인들은 물론 헌터인 동료들까지도 세뇌에 걸리게 될 정도로 강력해졌으나 루미는 거의 반 악령화가 된 상태임에도 귀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작중 귀마가 '문양이 있음에도 나의 힘이 닿지 않는다.'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진우 등 다른 이들과는 달리 루미에게는 귀마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나마 최종장에서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좌절감을 주려 말을 걸었던 게 유일한 목소리 전달인데 이마저도 루미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헌터의 역사에서 언급된 황금 혼문과 관련한 추측 중 루미가 악령의 피를 이어받았음에도 귀마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가 류미영의 죽음과 관련한 떡밥으로 루미의 몸에 불완전하게나마 '''황금 혼문을 집어넣은 것 아닌가'''라는 추측도 있다. 왜인지 악령화에 잠식되가는 루미는 다른 악령들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혼문에 영향을 주는 묘사가 있으며 최종장에서 동료인 미라와 조이를 포함 다른 사람들은 모두 혼이 묘사되는 와중에 '''루미의 혼만 묘사되지 않는다.''' * '''루미와 셀린의 갈등 이후 묘사되지 않은 셀린의 행보''' 공교롭게도 이 갈등이 있고 난 뒤부터 '''셀린은 작중 끝날 때까지 모습을 비추지 않는다.''' 더욱이 셀린의 가치관은 '자신의 약점은 감춰야 한다(완벽주의)'로 삼인방의 '나약한 자신의 모습도 받아들여야 한다(수용주의)'의 입장과 대척되는 입장이다. 이 갈등은 끝내 작중에서 해소되지 않는다.[* 초기 이 갈등 장면의 컨셉 아트에서는 모종의 이유로 '''셀린이 류미영을 죽였다'''는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는 장면도 있었다.] * '''주인공 삼인방의 과거''' 주인공 삼인방 모두 아이돌 활동에 따른 애칭을 쓸 뿐, 본명이나 과거사 등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다. 작중 조이가 [[HUNTR/X|헌트릭스]]가 되기 전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으로 보아 가장 늦게 헌트릭스에 합류했다는 정도는 유추할 수 있으며 미라는 가정의 불화가 아직까지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결국 현재 진행형이고 주인공 삼인방 모두 개인의 갈등은 해결했을지언정 가족들과의 갈등은 여전히 풀지 못하고 작품이 끝났다. * '''버려진 진우의 가족들의 행방''' 이들이 400년 전 인물들인 만큼 그 직후부터 방치된 채 굶어 죽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생김새와 옷을 근거로 헌터가 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457443|#]][* 다만 해당 링크의 루리웹 게시물 댓글 중에서도 지적되듯이 단순히 캐릭터 모델 돌려쓰기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일례로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픽사]]의 애니메이션인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는 작중 반동인물인 [[안톤 이고]]의 어린 시절 회상에서 나온 집의 내부 구조가, 극중 초반부에서 주인공인 [[레미(라따뚜이)|레미]]와 그의 가족들이 살고 있던, 할머니 [[라따뚜이(애니메이션)/등장인물#마벨|마벨]]의 집과 구조가 똑같은 것을 근거로 마벨이 안톤 이고의 어머니가 아니냐는 추정이 있었으나 당작의 감독인 [[브래드 버드]]가 '구상 시간이 촉박하여 소품 모델들을 재사용한 것'이라 일축한 바 있다. [[https://x.com/BradBirdA113/status/1173997144094564352|#]]]. 일각에서는 후반부 루미가 악령화되어가는 과정에서 '혼문 같은 건 없는 게 낫다'고 선언했음에도 귀마를 저지하기 위해 콘서트에 난입했을 때에는 '다시 혼문을 만들 것'이라 선언했는데 이를 토대로 '콘서트까지 향하는 과정에서 루미를 각성하게 해주는 역할을 진우의 가족들의 영혼이 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 '''끝내 완성되지 못한 황금 혼문과 루미의 문양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 최종장에 펼쳐진 혼문은 기존에 있던 푸른빛 내지는 오로라빛 혼문이지 작중 언급되었던 황금 혼문이 아니다. 실제로 최종전 루미와 귀마의 대결에서 귀마가 '이제 혼문이 없다'고 하자, 루미는 '없지, 우리가 다시 만들거야' 라고 했는데 '혼문'을 만들 것이라고 하지 '황금 혼문'을 당장 완성한다고 말하진 않았다. 즉 결말 시점에서도 '원래 있었다가 사라진 혼문을 겨우 복구'한 것이지 아직 '황금 혼문을 완성'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 때문에 여전히 루미의 문양은 사라지지 않았다. 루미의 문양은 '황금' 혼문이 완성되어야만 사라진다고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결말 시점까지 황금 혼문이 완성되는 장면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서 제작진이 시즌 2를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 가능하다. * '''악령에게 혼을 먹힌 사람들(실종자)의 행방''' 혼만 먹혔다기에는 아예 저승으로 끌려간 듯 순식간에 사라져서 행방이 묘연하며, 지하철 씬을 보면 영혼이 빠져나가고 육체만 혼이 나간 채 있는 게 아니라 육체 상태로 같이 실종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작중에서도 뉴스에서 실종자가 증가했다는 언급이 나온다.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얼굴 없는 잡귀들을 근거로 혼을 빼앗긴 인간은 잡귀가 되어버리는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다. 또 [[HUNTR/X|헌트릭스]]가 [[Saja Boys|사자 보이즈]]를 완전히 무찌르고 혼문을 완성한 이후에 엔딩 장면에서 지하철에서 실종되었던 인물이 바깥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있으나, 이것이 실종자들의 복귀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캐릭터 모델 재사용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귀마를 물리친 후 헌트릭스가 3개월 공백기 동안에도 별 걱정 없이 지내는 걸 토대로 돌아온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애초에 진우의 소멸이라는 충격 전개가 있었음에도 잘 지내는 것처럼 단순 극적 허용일 가능성도 있다. 복귀했다면 복귀자들은 실종 기간 동안의 기억이 있을지 등도 의문이다. 진우의 경우는 혼이 빠져나가면서 육체가 소멸했다.[* 물론 이 쪽은 '''인간이 아니다.''' 진우의 경우는 귀마의 힘을 받은 인간이 악령으로 변한 모습인데다 그로부터 40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실종된 사람들과는 결 자체가 다르다.] 다만 영혼이 빠져나간 육체는 [[시체]]가 되는, 곧 [[죽음]]이라는 통념과 본작이 [[12세 이용가|12세 이상 관람가]]로 책정되었다는 외적인 요인을 감안하면 단지 수위상의 문제로 본래 기획에서는 시체로 처리할 것을 제작 과정에서 해당 인물 자체가 사라지는 실종으로 처리했을 가능성도 있다. 당장 예의 [[서울 지하철 7호선]]을 모티브로 한 전철 전투 시퀀스를 보면 이미 열차 한 량에도 승객이 꽤 많았는데 열차 지붕 위 전투가 사실상 패배로 끝난 뒤 해당 객차 내부의 (영혼을 빼앗긴) 승객들을 모조리 시체로 처리한다면 유혈 묘사가 없다고 한들 본작의 수위가 못해도 15세 관람가가 되어버린다.[* 연출상 앞뒤 칸까지 합쳐 최소 3량의 열차 승객은 모조리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장면은 휴대전화나 쇼핑백에 담겨있었던 [[귤]]을 비롯한 승객의 소지품이 열차 내에 어지럽게 널부러진 모습을 연출하는 것으로 시체를 대신 표현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최종전의 사건에 대한 대중들의 기억과 사자 보이즈 행방 처리''' [[HUNTR/X|헌트릭스]]가 퇴마사란 사실과 [[Saja Boys|사자 보이즈]]가 악귀라는 사실은 대중들에게 철저하게 비밀로 부쳐져있기 때문에, Takedown 공연 장면에서 헌트릭스의 불화설[* 대놓고 뉴스에서 '헌트릭스 무대위 난동'이라는 자극적인 타이틀로 대대적으로 보도될 정도였다.], 또한 최종전에서 대중들 앞에서 보여준 헌트릭스와 악마화된 사자 보이즈의 대결, 인간 세계 앞에 모습을 드러낸 귀마의 모습, 해당 결투 이후 사자 보이즈가 실종된 점 등을 대중들에게 어떻게 해명했을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결말에서 별다른 논란 없이 헌트릭스가 복귀한 모습이 그려지는데, 무대 퍼포먼스로 넘겼다든지 기억 소멸 같은 추측은 있으나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은 없다.[* 그러나 최초의 헌터들은 사람들 앞에서 악귀들을 물리쳤고 마지막에 나오는 전광판에는 루미가 문양이 있어 그냥 공개한 것일 수도 있다.] 추측해볼 수 있는 장면은 있는데 헌트릭스 복귀 후에 사자보이즈의 응원봉이 단체로 쓰레기통에 버려져있는걸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자보이즈가 자연스럽게 대중에 관심에서 사라졌다는 연출로 의도되는 부분이다. 애초에 악귀의 홀림으로 얻은 인기였기 때문에 이들이 퇴마되고 나서 사자보이즈를 향한 팬심이 모두 자연스럽게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 '''호랑이와 까치의 정체 (부분 해결)''' 첫 등장 시 저승에 있을 때는 진우의 곁에 있으면서 붉은 안광이 나와 악령으로 보이는가 했지만 이승에서는 오히려 푸른 오라를 사용하는 모습과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정체에 대한 의구심이 남아있다. 이후 작가의 SNS에 '어느 세계에서도 있을 수 있는 중립적인 존재 / 착한 귀신'이라는 설정이 공개되었다. 제한된 분량으로 인해 해당 관련 스토리는 넣지 못했다고 한다. * '''연이은 좌절을 겪은 루미가 깨달음을 얻은 과정 (부분 해결)''' 셀린과의 갈등 때 루미가 혼문 따위 없어져도 좋다면서 사라졌다가 콘서트장에 나타나기까지의 심경 변화 과정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대게 이런 류의 작품에서는 세 명의 우정을 상징하는 물건/기억/추억을 매개로 다시 각성하는 연출이 흔한 클리셰지만 분량 조절 문제로 그마저도 나오지 않았다. 물론, 이때 루미가 말하는 혼문은 '억압과 단절'이라는 부정적 의미고 콘서트장에서 새로 만들겠다는 혼문은 '평화와 보호'의 의미로 말했을 가능성은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변화에 이르기까지의 심경 변화 과정이 전혀 묘사되지 않아 콘서트장으로 향하는 중 무슨 일이 있던 것인지는 떡밥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컨셉아트를 통해 자신의 악령으로서의 힘을 통제하고 어머니를 죽인 셀린에게 분노한 감정을 달래려고 어머니의 무덤 앞에서 노래하는 장면이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https://newduck.net/board_wmOE27/109386345|#]] [[파일:Rumi's_ Song.jpg|width=80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